뉴스/안전 정보

'이태원 참사'는 피할 수는 없었나? 압사사고 예방 행동요령 알아두자

자이언츠팬2 2022. 11. 2. 00:15
반응형

이태원 참사는 어떻게 일어났나


2022년 10월 29일 토요일 밤 10시경 서울시 용산구 이태원에 많은 인파가 몰려 150여 명이 사망하는 참사가 발생했다. 당일(29일) 초저녁부터 이태원 술집과 식당 주변에는 핼러윈 기념 파티를 즐기기 위해 수천 명 모여들었다. 지난 2년간 코로나19 방역조치가 해제되면서 축제에 시민들의 기대감이 컸다. 작년에도 이태원에서 핼로윈데이 기념행사가 열렸지만 상황이 매우 달랐다고 전해진다. 길거리에 사람들이 너무 많아 오후 5시부터 '안전하지 않다'는 SNS가 올라오기 시작했다.

사고가 일어난 경사진 골목으로 인기 있는 술집과 식당이 많아 코스프레한 사람들을 많이 볼 수 있어 사람들이 분비는 곳이었다. 당일 이상을 감지한 사람들은 빠져나오지 못하고 휘말려 사고를 당했다. 인파 속에 낀 사람들은 벗어날 수도 없고, 시민들이 넘어지면서 대규모 충돌 사고가 발생한다. 좁은 길 양쪽 끝에서 계속 사람들이 몰려들면서 누구도 빠져나올 수 없었다. 사람들은 압사되어 질식했다. (성인 100명이 밀면 18톤의 압력을 받는다)

심폐소생술(CPR)을 할 수 있는 사람들이 너도나도 뛰어들어 돕기 시작한다. 이미 숨이 멎은 사람들이 많았고 여기저기 흰 천에 덮인 시신이 많았다. 심정지는 압사 사고의 흔한 사망원인이다. 밤이 깊어갈수록 사망자는 늘어나 150명을 넘겼다. 사고가 일어났지 인지하지 못한 술집과 클럽은 계속해서 음악을 틀어놓아 비난받았다. 30일 이태원 중심으로 봉쇄된 상태다.



2022년 10월 29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 사고 현장



이태원 참사 일지


이태원 일대 10만명 이상의 인파가 몰렸고, 특정 지역(좁은 내리막길)에 한꺼번에 많은 인파가 몰려 참사가 발생했다. 22시 24분경 10여 명의 신고 접수 후 구급차량 4대가 출동하고 6분 뒤 구급차 9대가 추가 출동하였다. 22시 43분 소방당국은 대응 1단계 발령을 하고 119 재난의료지원팀 출동, 용산구 구급차 30대 추가 출동한다. 23시 13분 소방당국 대응 2단계 발령, 23시 19분 축제 중단 요청된다. 23시 50분 대응 3단계로 격상되며 10월 30일 4시 30분 실종자 접수처가 마련된다. 오전 9시 50분 윤석렬 대통령은 '국가 애도 기간'을 선포한다. 10시 10분 기준으로 151명 사망, 82명 부상)이다.

이태원 참사 '후진국형 사고', 구조 늦어진 이유, 책임 소재 규명 철저히


용산구 이태원의 핼러윈 행사는 수년간 이어져 왔으며 코로나 19로인한 방역수칙으로 인해 다소 규모가 축소되었지만 대규모 인파로 인해 인명피해가 난다는 것은 상식 밖의 일이다. 핼러윈 축제, 자발적 행사로 공권력에 의한 통제 의무가 맞냐 아니냐의 문제를 떠나 수년간 치러오면서 통제하고 관리해야 할 관할 구역 지자체의 문제가 크다. 더 크게 나아가 서울시와 정부 또한 인원이나 규모가 큰 행사에서 지켜야 할 통제 관리에서 손 놓고 있었던 건 아닌지 자발적으로 책임 소재를 명확히 규명해야 할 것이다.

사고 발생하고 구조되기까지 골든타임은 숨이 멈춘 단 몇 분이었을테다. 이런 불행한 사고 이후에 아무리 외쳐도 죽은 자는 돌아오지 않는다. 그때 그 순간으로 되돌아가서 살리고 싶은 사람들이다. 좁은 길목 빠져나올 수 없는 상태로 몰아가 질서를 정돈하지 않은, 이런 축제성 지역에 모인 인파를 관리하지 못한 사람은 결국 누구인가. 그날 처음 행사한 날도 아니고 수년간 행사를 이어온 곳인데 그사이 모든 걸 잊은 건 아닐 텐데 말이다. 아니리 한 사고를 한 사람, 위험을 감지하지 못하는 사람, 책임 회피하는 사람 누구인지 제대로 꼬집어 보아야 할 테다.

이태원 참사 사전예방 계획 중요함을 우리 모두가 알고 있다.


압사사고 예방 행동요령


미국 공영방송 <엔피아르>(NPR)는 ‘군중 속에 갇혔을 경우 따라야 할 8가지’, 독일 막스 플랑크 연구소에서 집단행동을 연구하는 메흐디 무사이드 박사는 팔을 이용해 가슴 주변의 공간을 확보할 것, 밀릴 땐 반대로 밀어내지 말 것 등을 조언했다.

  1. 양어깨가 다른 사람들과 닿으면 위험을 직감해야 한다.
  2. 압박이 될 때는 가슴 앞쪽에 팔을 두어, 숨 쉴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3. 바닥에 가방을 두면 넘어져서 위험하다.
  4. 밀릴 때 나도 같이 밀면 힘이 한 곳으로 쏠려 더욱 위험하다. (절대 밀지 말 것)
  5. 위험할 때는 서로 도와야 한다. 도움이 전파되어 서로를 살린다.




세월호와 이태원 참사


대한민국은 세월호 참사의 트라우마가 채 가시기도 전에 이태원 참사를 맞아 안타깝다. 이것은 인재이고, 인재이다. 무슨 말이 더 필요할까. 유튜브도 TV도 인터넷 포털 뉴스도 사실 보기가 너무 어려웠다. 눈뜨고 볼 수 없었다. 실시간으로 사고 현장을 보는 건 몇 년이 지나도 잊히지 않는다. 바다에 가라앉는 세월호에서 우리는 모두를 살려낼 수 있다는 희망을 버리지 않았고, 이후 모두가 죽는 그 상황을 봐야만 했을 때 믿을 수 없었다. 아무도 구해주지 못하는 상황이 믿기지 않았다. 이태원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단 몇 분이 골든 타임이었지만 눈앞에서 아무도 구하지 못했다. 이런 참사가 왜 잊을 만하면 다시 터지는지 누굴 원망해야 하는 건지 속이 터질 지경이다. 내 아이가 거기에 있었다면 나는 누굴 잡고 원망해야 할까. 법으로 해결해야 할 먼길만 남았다는 것 자체가 이미 허탈할 뿐이다.

한마디 더
책임감 없고 할 바를 다하지 못하겠으면
그 자리 차지하고 앉아있지 말자
국민은 일 못하는 사람이 제일 싫다.

반응형